JSP27 JSTL fmt fmt 태그는 jsp 페이지에서 리소스를 사용할 때 리소스를 다루는 태그입니다. : 로케일을 사용하여 리소스 번들로부터 해당 언어 및 국가 코드의 리소스를 가져와서 jsp 페이지를 사용하거나 리소스의 출력 양식을 결정할 때 사용합니다. 1. >> 수치 데이터를 형식에 따라 표현하기 위한 태그 1. >> 날짜와 시간을 형식에 따라 표현하는 태그 2022. 7. 18. JSP 표현 언어와 JSTL core 태그 표현식 - 표현 언어 - $ { } // JSTL >> jsp 가 제공하는 태그 // add는 변수를 의미한다. ${add} // 객체의 속성을 의미한다. // 변수가 아니다. JSPL 이란 JSTL + EL의 조합을 말한다. HTML 코드 내에 java 코드인 스크립트릿 를 ${student}로 문을 로 문을 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JSTL JSTL의 정식 명칭은 jsp 스탠더드 태그 라이브러리로 JSTL 은 라이브러리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전에 core를 header에 추가해 주어야 한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JSTL core의 태그들 scope 속성 : 범위 4가지 p , r , s, a ex) int count = 10; // 참고 : https://daesuni.github.io/jstl/ .. 2022. 7. 15. JSP bean / 자바 빈 클래스 기본 개념 JSP Bean이 나온 이유 웹 사이트는 디자이너와 프로그래머가 함께 개발합니다 프로그래머가 jsp 페이지를 작업 시 자바 코드로만 입력하게 되면 소스가 길어지고 디자이너 입장에서 알아보기 힘들어지며 jsp 페이지를 수정하기 힘들어 효율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java bean입니다 예를 들어 회원정보, 게시판 글 등의 정보를 출력할 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자바 빈 객체를 사용하게 됩니다. java bean 모듈화 된 MVC 에서 View 가 jsp 라면 M(model)에 해당하는 것이 Bean 입니다. 모델이 프로그램 로직을 가지고 있고 DB와 연동을 해서 작업을 하듯이 자바빈도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jsp와의 연동을 위해 만들어진 자바 컴포넌트인 Bean을 통해 jsp와 클래스들 간에 .. 2022. 7. 14. JSP 쿠키 기본 개념,구조 설명 /session 개념 설명 쿠키의 기본 개념 , 구조 설명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적은 양의 정보입니다. 쿠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response 객체를 사용해서 쿠키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해두었다가 이를 request 객체를 사용해서 가져옵니다. 쿠키 만들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 할때, 클라이언트에 cookie가 저장된다(쿠키를 심는다) >> response.addCookie(cookie); 쿠키 읽기 그 다음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게 request 할때, 쿠키가 서버로 넘어오게 된다.(쿠키를 확인한다.) >> request.getCookies(); 일반적으로 쿠키는 유효시간을 설정한다. 설정된 유효시간이 지나면 메모리에서 해제된다. 만약 유효시간 설정 안하면, 브라우저가 실행될 때만 정보가 유지.. 2022. 7. 13. JSP 파일 이클립스-깃허브 연동해서 올리기 1. 깃허브에서 new 눌러서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만든다. 2. 우측 상단에서 settings 를 누른다. 3. 왼쪽 맨 밑에 developer settings 누른다 4.왼쪽에 personal access tokens 를 누르고 토큰을 받을 준비를 한다. 5.generate new token 누르고 note에 아무거나 적은 후 밑에 체크를 해줘야한다. 6.[중요] 생성된 token을 복사를 해서 잃어버리지 않게 보관한다. 이클립스 연동하기 1. 다이나믹 웹 프로젝트에서 우클릭 > team > share project 2. Use or create repository in parent folder of project 체크 3.location의 내용을 마우스 좌클릭한다음 Create Repository를 .. 2022. 7. 13. JSP 액션태그 JSP는 페이지 내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태그 JSP 액션 태그는 각 페이지 간 플로우를 제어하고 java Beans를 사용하는 데 사용합니다. 액션 태그 요청과 응답을 다른 리소스로 전달합니다.( 페이지가 다른 경우) 다른 페이지의 이동과 같은 페이지의 흐름을 제어합니다. jsp 페이지의 프로그램 제어를 이동할 때 사용합니다. 사용법 : 서블릿 상에서 >> RequestDispatcher dispacher = getServletContext(). getRequestDispatcher("url"); dispatcher.forward(request, response); 구조 - jsp 컨테이너는 현재 jsp 페이지에서 forward 액션 태그를 만나면 1. 그전까지 출력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2022. 7. 12. JSP 내장 객체 영역 웹 애플리케이션은 page, request, session, application 4개의 영역을 가짐 내장 객체의 영역은 객체의 유효기간이라고도 불리며 객체를 누구와 공유할 것인가를 나타냄 page 동일한 페이지에서만 공유되고 페이지를 벗어나면 소멸된다.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데 관여하는 jsp 페이지마다 하나씩 생성된다. 그리고 이때 각 jsp 페이지는 page 영역을 사용하기 위한 pageContext객체를 할당받게 된다. 이 객체에서 저장된 정보는 해당 페이지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페이지를 벗어나면 소멸된다. include 지시어로 포함한 파일은 하나의 페이지로 통합되므로 page 영역이 공유되게 된다. request 하나의 요청에 의해 호출된 페이지와 포워드(요청 전달)된 페이지까.. 2022. 7. 12. JSP 내장객체 request,response / Redirect방식, forward방식 리다이렉트 >> sendRedirect() redirect() [이동하기] 메서드는 새로운 페이지로 완전히 이동해서 기존 데이터를 하나도 사용할 수 없다. 포워딩될 때 url이 변경된다. 포워딩된 jsp 페이지에서는 서블릿에서 request 영역에 공유한 속성 값에 접근 불가 1. response 객체의 SendRedirect()로 페이지를 이동하는 방법 2. 브라우저의 URL을 변경하도록 하여 페이지를 이동하는 방식으로 request와 response 객체가 유지되지 않음(URL 주소가 바뀜) 3. 객체의 제어권을 못 넘긴다. request 영역에 쌓아놓은 데이터를 못 가져오기 때문에 ------------------------------------------------------------------.. 2022. 7. 12. JSP 설문조사 폼 만들기 이전에는 서블릿 클래스로 서버 페이지 역할을 만들어봤습니다. 이제는 jsp로 서버 페이지를 만드는 걸 해보겠습니다. 화면 입력하기 위한 폼 jsp = researchForm.jsp 화면 내용을 읽고 출력하기 위한 폼 jsp = research.jsp 해석 : 1.researchform.jsp에서 research.jsp를 post 방식으로 요청하기 때문에 요청 파라미터 값에 대한 한글 처리를 해야 합니다. 2. 폼의 입력 양식에서 전달되는 파라미터 값을 얻어와 변수에 저장해 둡니다. 3. 선택된 라디오 버튼에 대해서 value 속성 값이 male 혹은 female을 얻어오기 때문에 남자 혹은 여자로 출력하기 위해서 조건문을 사용하였습니다. 4. 2022. 7. 12. 이전 1 2 3 다음